서울시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고물가 시대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무제한 정기 이용권을 도입하여, 내년(2024년) 1~5월 시범 운영과 보완을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에 있는데 실제 대중교통이 아닌 자가용으로 출퇴근하시는 분들에게는 교통비 절약에 도움이 많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 기후동행카드의 사용범위와 카드신청방법 및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기후동행카드의 사용범위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5000원짜리 교통카드 : 서울 시내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원스톱 무제한 이용.
★ 서울시내 지하철 : 서울 시내의 1~9호선의 모든 지하철 이용이 가능하고 분당선, 우이신설선, 경의 중앙선, 신림선을 포함해서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서울에서 승차하고 하차하는 지역이 경기도나 인천 등 다른 지역에서 하차할 경우에는 이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의 승차 시에는 사용을 할 수가 없다. 그리고 기본요금이 상이한 신분당선도 제외된다. )
★ 버스 : 서울의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모두 기후 동행 카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경기도나 인천 등의 다른 지역의 버스나 기본요금이 다른 광역버스의 경우에는 서울시내 안이라도 이용을 할 수가 없다.
★ 공공자전거 :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1시간 이용권 무제한 사용이 가능하다.
★ 친환경 교통수단 : 리버 버스등 친환경 교통수단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한다.
※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 도입 2024년 1~5월 시범 판매될 '기후동행카드'는 최초 3000원으로 실물 카드를 구매한 뒤 6만 5000원을 충전해 한 달 동안 서울 권역 내 지하철과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 등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 스마트폰 APP을 사용하는 방법 : 서울시 교통카드 앱을 설치해야 한다. 입 설치 후 결재수단과 휴대폰 번호 등록을 해야 한다. ※ 우선 시범운영은 아드로이드폰만 가능하다고 한다.
★ 실물카드 사용 방법 ; 지하철 역 25개 자치구청, 서울시청 등에서 발급받을 수 있는데 발급받기 위해서는 본인 신분증과 발급 수수료 3천 원의 비용이 발생한다.
기후동행카드 활성화 방안
최근 물가·에너지 비용이 큰 폭으로 오른 데다 버스 요금에 이어 지하철 요금 인상도 가계 부담은 더욱 커질 것이다. 이에 시에서는 요금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를 주면서도 지속가능한 제도인 '기후동행카드'를 추진, 대중교통수단분담률을 획기적으로 올려놓는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종사자 100인 이상 기업에서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해 임직원에게 배부할 경우에 교통유발부담금 감면 등 추가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 강력한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정책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국제 유가상승이 지속되는 데다 범지구적으로 폭염·폭우·가뭄 등 기후위기 징후가 나타나면서 독일, 프랑스 등 세계 여러 국가들도 무제한 교통카드 도입 등 대중교통 이용을 높이는데 집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