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마의 개요
길이 1.5∼3.5m, 너비 25∼40cm이다. 큰 바닷말이며 2∼4년생인 엽체(葉體)는 포자세대(胞子世代)로서 겉보기에는 줄기·잎·뿌리의 구분이 뚜렷하다. 잎은 띠 모양으로 길고 가운데 부분보다 약간 아래쪽이 가장 넓다. 잎의 가운데 부분은 두께 1.8∼3.5mm로서 약간 두껍다.
다시마의 성분
다시마에는 카로틴류·크산토필류·엽록소 등의 여러 가지 색소 외에 탄소동화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마니트·라미나린 등의 탄수화물과 세포벽의 성분인 알긴산이 많이 들어 있고, 요오드·비타민 B2·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 성분은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체로 수분 16%, 단백질 7%, 지방 1.5%, 탄수화물 49%, 무기염류 26.5% 정도이며, 탄수화물의 20%는 섬유소이고 나머지는 알긴산과 라미나린 등 다당류이다. 특히 요오드·칼륨·칼슘 등 무기염류가 많이 들어 있으므로, 다시마를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은 무기염류의 공급을 위해서 좋다. 다시마에 들어 있는 라미닌이라는 아미노산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효능
1. 요오드 보충제
다시마에는 요오드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인체에 요오드가 결핍되어 나타나는 갑상선 기능저하를 치료할 수 있다.
2. 혈전 억제
다시마에는 세포벽의 다당을 복강 내에 주사하면 쥐의 혈전생성과 혈액응고를 억제할 수 있다.
3. 혈지 및 혈당 감소
다시마의 물 추출물을 당뇨 쥐에게 먹이면 그 혈당농도와 간의 지질과산화반응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당뇨병 쥐 간의 크산틴산화효소의 활성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 다시마의 추출물을 쥐에게 투여하면 취의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리드의 함량을 감소시킨다. 다시마의 다당을 당뇨병 쥐에 경구투여하면 혈지와 혈당을 감소시키고, 당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정상 쥐의 혈당에 대해서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시마의 후코이단-갈락토산 황산염을 고콜레스테롤 쥐에 투여하면 혈청 콜레스테롤을 조절할 수 있다.
4. 면역조절
다시마의 다당을 쥐의 복강에 주사하면 복강대식세포의 수량을 증가시키며, 쥐 복강대식세포의 탐식률과 탐식지수를 증가시킨다.
5. 항종양
다시마의 물 추출물은 인체백혈병세포 K562, 인체식도암세포 TE-13, 쥐 복수암세포 S180에 대해 각기 다른 정도의 억제효과가 있다. 다시마의 후코이단-갈락토산 황산염을 복강에 주사하면 S180 종양세포에 대해 살상작용이 있다. 후코이단-갈락토산 황산염은 인체자궁경부암세포의 성장을 뚜렷하게 억제하며, 일부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어 자궁경부암세포의 괴사를 유도하는 작용도 한다.
6. 간 보호
다시마의 후코이단 올리고 배당체를 실험성 간 손상 모델 쥐에 투여하면 활성산소와 지질과산화물(LPO)의 간에 대한 세포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간 보호작용을 유도한다.
7. 기타
다시마는 쥐의 임신율을 높일 수 있으며, 유선을 신속하게 수유기로 진입하게 한다. 또한 혈압강하, 항산화, 항피로, 강심(強心) 및 조직 내 산소결핍을 개선하는 등의 작용이 있다. 다시마의 후코이단-갈락토산 황산염은 하이만스신염 Rat에 대해 보호작용이 있다.
섭취방법, 섭취량 및 주의할 점
모든 음식이 그렇듯이 매일 일정량을 꾸준히 먹는 것이 효과적이고 중요하다. 건조 다시마를 5cm X 5cm 크기로 잘라 물에 불린 후 간장이나 된장에 찍어 먹으면 좋다. 섭취량은 매 끼니마다 5장 정도면 충분하다고 한다. 다시마는 냉수에 30분 이상 불려서 소금기를 제거하고 적당한 크리고 썰어서 간장이나 된장에 찍어먹기도 한다. 다시마는 요오드 성분 때문에 너무 많이 먹으면 갑상선 이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또한 다시마의 가장 중요한 영양소라고 할 수 있는 알긴산은 너무 장시간 열을 가하면 빠져나가게 되고 영양분이 손실되는 것은 맛까지 떨어지기 때문에 국물을 내거나 익혀서 먹을 때는 너무 오래 끓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