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481 매년 1,400만 명의 당뇨병 환자가 발생하는 이유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다. 당뇨병은 식단과 운동이 매우 중요한데, 특히 식단 관리는 평생에 걸친 숙제와 같다. 최근 미국 터프츠 대학교(Tufts University)에서는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전 세계에서 매년 1,400만 명 이상의 당뇨병 환자가 발생한다는 분석과 함께,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식이 요인을 발표했다고 한다. 1. 잘못된 식습관이 제2형 당뇨병의 주요 원인 미국 터프츠 대학교 연구진은 글로벌 식이 데이터베이스(GDD)와 UN의 인구 통계 등을 활용해 1990~2018년 동안의 184개국의 식이 변화와 당뇨병 분포를 통합하고, 11개의 식이 요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진은 2018년 새롭게 발생한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총 1,410만 명 이상으로, 그중 .. 2023. 5. 2. 오늘의 맛집(을밀대) 오늘은 근로자의 날이라 출근을 하지 않고 아침에 늦게까지 늦잠을 자고 6시에 일어나 보라매병원에서 당직을한 딸래미를 픽업하여 집에까지 왔더니 오늘 점심은 냉면을 먹으로 가자고 한다. 그러면 12시쯤 집을 나가 집 주위에 있는 경의선숲길을 좀 걷고 마포구 대흥역 근처에 있는 을밀대에서 평양냉면을 먹기로 했다. 경의선 숲길은 옛날에 서울에서 신의주까지 가는 기차길이 있었는데 현재는 그 철로가 없어지고 그 자리를 도심 내 공원으로 꾸며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공간으로 현재 존재하는 경의선 숲길은 용산에서 시작되어 마포구 가좌역까지의 구간에 도심내 공원으로 활용되고 있는 길이다. 오늘은 공덕역에서 시작하여 대흥역, 서강대역, 홍대입구역을 지나서 까지 조금더 가다가 약 1시간 정도의 길을 걷고.. 2023. 5. 1. 당뇨병 환자가 소금 섭취를 줄여야 하는 이유 당뇨병 환자가 달게 먹으면 안 된다는 건 상식이다. 그리고 단맛만큼 짠맛도 당뇨병에 좋지 않다고 한다.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본다. 1. 합병증 위험 증가 나트륨을 과다 섭취하면 당뇨병 합병증 위험이 높아진다. 체내 나트륨 농도가 높으면 혈관 벽이 자극돼 혈압이 높아지고 고혈당으로 손상된 혈관이 더 약해진다. 심혈관질환, 관상동맥 심장질환 등 발병 위험이 커진다. 짜게 먹는 습관은 신장에도 영향을 미친다. 신장은 미세혈관으로 이루어져 혈류가 많은 기관이라 당뇨병 환자의 고혈당이 신장의 미세혈관을 망가뜨리기 쉽다. 그런데 짠 음식을 먹어 체내 나트륨이 많아지면 신장에 결석이 생길 위험이 커지고 신장 기능을 떨어트린다. 2. 짠 음식·가공육 섭취 자제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하루 나트륨 섭취량을 2000m.. 2023. 4. 29. 아침 기상 직후 생활습관 물 마시기, 생양배추 먹기를 하면 좋은 점 아침에 잠에서 깨면 몸속 수분이 고갈된 상태다. 혈액은 끈적해져 있고 몸의 신진대사는 뚝 떨어져 있다. 위염이 심해져 속이 쓰리다. 아침 공복에는 미지근한 물부터 마셔야 한다. 다음엔 생양배추다. 몸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본다. ◆ 아침 기상 직후 생활습관, 최악은 무엇일까? 예전에는 아침에 일어나면 담배부터 찾는 사람들이 꽤 있었다. 요즘은 많이 줄었지만 지금도 아침 공복 흡연을 즐기는 경우가 있다. 최악의 아침 습관이다. 빈속에 담배연기가 몸속에 들어가면 유해-발암물질들이 위 점막, 폐, 혈관에 급속히 확산된다. 공복에는 진한 카페인이 포함된 커피도 좋지 않다. 위 점막을 자극해 위의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 아침에 일어나면 미지근한 물부터 마시는게 좋다. 6~8시간 자는 동안 우리 .. 2023. 4. 26. 이전 1 ··· 73 74 75 76 77 78 79 ··· 121 다음